2019년 1월 호국인물 <연제근 육군상사>
Name. 관리자    Date. [19.01.01] 1136    Hit. 1,277
÷ : yeon2.jpg


2019년 1월의 호국인물로 연제근(延濟根) 육군 상사를 선정됐다. 

연제근 상사는 1930년 1월14일 충청북도 증평군 도안면에서 태어났다.

연 상사는 1948년 국방경비대에 입대해 7연대 조교로 근무하다가

1949년 국군 3사단 22연대 1대대 분대장으로 지리산 공비토벌 작전하고

이어 1950년 6·25전쟁에 참전했다.

1950년 9월15일 인천상륙작전이 성공하면서 유엔군은 일제히 낙동강선에서 반격을

감행했다. 그러나 낙동강선 방어작전을 수행 중이던 국군 3사단은 형산강 북쪽을

점령하고 있던 적의 완강한 저항으로 포항 남쪽 형산강 일대까지 밀리는 위기에

처하며 고전을 면치 못했다. 

특히, 형산강 북쪽 달전리에 있던 적 진지에서 퍼붓는 기관총 사격으로 진출이 불가능

하게 됐다. 당시 22연대 1대대의 분대장이었던 연 상사는 12명의 특공대원을 결성해

9월17일 새벽 4시께 선봉에 서서 기관총진지를 파괴하기 위해 돌격에 나섰다.

연 상사 등 대원들은 수류탄을 몸에 매달고 수중포복으로 형산강을 건너던 중

적의 공격을 받았다. 이 공격으로 9명이 전사했고, 연 상사도 어깨를 관통하는

치명상을 입었다. 그러나 연 상사를 비롯한 남은 3명은 끝까지 돌진해 3발의 수류탄을

적의 기관총진지에 투척, 완전히 제압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그 과정에서 연 상사도

전사했다. 당시 그의 나이 21세였다. 

고인의 목숨 건 희생과 전공에 힘입어 22연대는 형산강을 도하해 포항지구를

수복했으며 국군 3사단은 동부전선에서 반격작전 수행의 계기를 마련했다.

정부는 고인의 전공을 기려 2계급 특진과 함께 을지무공훈장, 화랑무공훈장,

무공포장을 추서했다.